본문 바로가기

나는개발자다!!/서버

구글 클라우드엔진 인증받고 사용하기 - Window썰 구글의 API를 활용해서 작업을 하려고 하는데Firebase의 프로젝트들은 간단하게 사용이 가능했는데 gcloud 프로젝트들은 사용 인증을 코드 기반으로 하지 않고, 암호화 키를 받아서 os레벨에서 path를 설정해서 인증처리를 하는 방식으로 구성을 해줘야한다. 이 부분이 보안성은 매우 높을텐데 많이 사용해보지 않아서 구성에 애를 먹는 경우가 있을 듯 하여 정리해본다.구글 계정과 사용할 API의 설정까지는 된 상태여야합니다. Step1. Gcloud SDK 설치하기Google Cloud SDK 설치하기로 이동하여 본인에게 맞는 OS의 SDK를 설치해야 합니다.(참고로 Window 계열과 xnix계열은 path설정만 다르고 나머지는 다 동일합니다.저는 Window를 기준으로 작성합니다.) Step2. 로그.. 더보기
teraterm 로그 및 자동로그인 썰 난 서버 작업 시에는 가볍게 사용 할 수 있는 teraterm을 주로 사용중이다.(AWS에 작업 시에도 teraterm이 좋더라) teraterm 이용 시 로그를 자동으로 남기고, 자동 로그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이다.설치파일은 구글링을 통해서 받아주세요. 1. 로그 자동으로 남기기 > Setup > Additional settings > Log.. log file 명을 teraterm_%Y%m%d.%H%M%S.log 와 같은 형식으로 남기고 로그 생성을 원하는 디렉토리를 설정하면 접속 시간 별로 로그가 생성되어 사용 기록을 남기게 된다. 관련 사항을 설정하고 > Setup > Save Setup 기능을 통하여 TERATERM.INI 환경 설정 파일을 반드시 저장하자. 2. 로그인 아이디 패스워드 정보.. 더보기
Linux 사용자 관련 명령어 썰 1. 사용자 추가 및 삭제useradd [옵션] 계정이름-d : 홈디렉토리를 지정-g : 그룹을 지정해서 사용자를 생성한다. 해당그룹이 존재하는 상태에만 가능-G : 기본그룹이외에 추가로 지정그룹에 속하게 한다.-c : 사용자에 대한 설명을 추가한다.-s : 사용자 쉘을 지정하여 생성-D : /etc/default/useradd에 설정된 유저추가에 대한 기본설정을 보여준다. ex) useradd -g group1 test: group1에 test계정을 만든다. group1이라는 그룹이 존재해야함. 2. 사용자 삭제 userdel [옵션] 계정이름-r: 사용자의 홈디렉토리 삭제 3. 사용자 정보 확인cat /etc/passwd형식은 ( ID/패스워드:UID:GID:설명:홈디렉토리:쉘 ) 이다. 4. 사용자.. 더보기
Window의 port 확인 및 프로세스 KILL 명령어 썰~! 1. 특정포트가 열려있는지 확인- netstat -na | findstr "포트" 2. 열려 있는 포트의 PID 확인- netstat -nao | findstr "포트" 3. PID 찾기- tasklist | findstr "PID번호" 4. 프로세스 죽이기- taskkill /f /pid "PID번호" 더보기
공유기 외부 접속 방법에 관한 썰~! 공유기를 사용하게 되면 외부에서 들어오는 IP(실제 IP겠지)로 공유기에서 내부 IP로 바꾸어준다(통상 192.0.0.x) 내부에서 A -> B 로 원격, FTP 등등을 사용할때는 192.0.0.x로 통신이 가능하나(포트를 풀어줘야 가능하다) 외부에서(놋북이 들고 밖에 나간 상황) 내부 컴터로 연결을 시도하려면 공유기 설정에서 몇 가지 설정을 해주어야 한다. 작업의 순서는 1. 우선 DDNS를 등록해주고 2. 포트포워딩을 통해서 외부에서 들어오는 IP를 내부 IP로 연결해주는 것이다. (포트로 구분해서 연결해준다) 3. 내부연결 대상이 될 곳에서 포트차단을 풀어주면 된다. 1. DDNS 등록 IP 타임 설정에 들어가면(통상 192.0.0.1로 하면 됨) 특수기능 - DDNS 설정이 있음. 여기서 DDNS.. 더보기
리눅스 관련 썰~ 웹프로그래밍을 실제 서버에서 운영중일때는 (혹은 개발서버) 다음과 같은 경우에 화면 변경이 안되는 경우가 있다. A.jsp 더보기
Tomcat 세션 클러스터링!!! (6.0기준) 우선 서버에서 사용하는 로드 밸런싱과 클러스터링에 대해서 간단하게 적어봅니다. 스타에 비유해서 설명을 하겠습니다. 나는 사람이니 테란이라고 지칭하고 적은 저그입니다. 로드 밸러싱이란 저그의 기지 A, B, C를 발견한 상황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전투를 진행중입니다. (A, B, C를 실시간 서비스 중인 서버라고 생각하세요) 내 본진에서 마린이 1마리 생산되었습니다. 이떄 이 마린을 A, B, C 중에서 어디로 보내야 할까요?? (가장 적절한 곳으로 보내야 하겠죠?) 이것이 바로 로드 밸런싱입니다. 주가 되는 서버가 있고(스위치 일수도 있고, apache일 수도 있는거고, 다른 장치가 될 수도 있겠죠) 주서버에 요청이 들어왔을때 A, B, C중에서 어디로 요청을 던저 줄 것인가를 분배하는 것을 로드 밸런싱이라.. 더보기
유닉스 - 파일 권한 변경 명령어들 파일의 권한과 관련된 명령어 몇 가지들~ 파일에 관한 명령어 중 자주 사용하는 것들에는 chown : change owner 파일 소유자 변경 chgrp : change group 파일 그룹 변경 chmod : change mode 파일 보호 모드 변경 umask : 새로 생성되는 파일의 기본 보호 모드를 설정 이렇게 4가지가 보편적으로 자주 쓰인다. 1. chown : 파일 소유 사용자나 파일 소유 그룹을 변경 - chown 대상소유주 대상파일 > chown makmak fileA : fileA 파일의 소유주를 makmak으로 변경 - chown -R xman 경로 > chown -R makmak /home/makmak/mypage : /home/makmak/mypage 디렉토리 및 서브디렉토리의 모든.. 더보기